현수의 이름 통계
성별을 합한 결과 6,214명으로 251위입니다. 남자는 5,883명으로 116위, 여자는 331명으로 895위입니다.
남자가 94.7%, 여자가 5.3%로, 이는 남성적인 이름임을 나타냅니다.
전체
6,214명
251위
남자 👨
5,883명
116위
여자 👩
331명
895위
성별 비율
연도별 출생아
| 연도 | 전체 | 남자 | 여자 |
|---|
| 2008년 | 845명 | 782명 | 63명 |
|---|
| 2009년 | 737명 | 700명 | 37명 |
|---|
| 2010년 | 754명 | 716명 | 38명 |
|---|
| 2011년 | 630명 | 595명 | 35명 |
|---|
| 2012년 | 552명 | 527명 | 25명 |
|---|
| 2013년 | 494명 | 476명 | 18명 |
|---|
| 2014년 | 454명 | 435명 | 19명 |
|---|
| 2015년 | 453명 | 415명 | 38명 |
|---|
| 2016년 | 290명 | 277명 | 13명 |
|---|
| 2017년 | 250명 | 236명 | 14명 |
|---|
| 2018년 | 194명 | 188명 | 6명 |
|---|
| 2019년 | 150명 | 146명 | 4명 |
|---|
| 2020년 | 103명 | 100명 | 3명 |
|---|
| 2021년 | 95명 | 89명 | 6명 |
|---|
| 2022년 | 69명 | 66명 | 3명 |
|---|
| 2023년 | 63명 | 61명 | 2명 |
|---|
| 2024년 | 40명 | 35명 | 5명 |
|---|
| 2025년 | 41명 | 39명 | 2명 |
|---|
연도별 순위 변화
| 연도 | 전체 | 남자 | 여자 |
|---|
| 2008년 | 112위 | 49위 | 522위 |
|---|
| 2009년 | 123위 | 56위 | 691위 |
|---|
| 2010년 | 129위 | 54위 | 686위 |
|---|
| 2011년 | 173위 | 74위 | 725위 |
|---|
| 2012년 | 200위 | 85위 | 848위 |
|---|
| 2013년 | 219위 | 88위 | 949위 |
|---|
| 2014년 | 231위 | 103위 | 890위 |
|---|
| 2015년 | 233위 | 113위 | 618위 |
|---|
| 2016년 | 348위 | 166위 | 1014위 |
|---|
| 2017년 | 348위 | 167위 | 923위 |
|---|
| 2018년 | 390위 | 195위 | 1250위 |
|---|
| 2019년 | 441위 | 227위 | 1466위 |
|---|
| 2020년 | 531위 | 273위 | 1525위 |
|---|
| 2021년 | 524위 | 288위 | 1130위 |
|---|
| 2022년 | 625위 | 345위 | 1461위 |
|---|
| 2023년 | 614위 | 332위 | 1636위 |
|---|
| 2024년 | 824위 | 498위 | 1140위 |
|---|
| 2025년 | 750위 | 435위 | 1534위 |
|---|
로마자 표기
HyunsooHyunsuHyeonsooHyounsooHyounsu
인명용 한자
| 㢺 | 활 현 |
| 㭹 | 땅 이름 현 |
| 䝮 | 자랑할 현 |
| 䧋 | 한정할 현 |
| 俔 | 염탐할 현 |
| 儇 | 영리할 현 |
| 呟 | 소리 현 |
| 妶 | 절개 있을 현 |
| 娊 | 허리 가늘 현 |
| 嬛 | 산뜻할 현 |
| 峴 | 고개 현 |
| 弦 | 활시위 현 |
| 怰 | 팔 현 |
| 懸 | 달 현 |
| 昡 | 햇빛 현 |
| 晛 | 햇살 현 |
| 泫 | 이슬 빛날 현 |
| 灦 | 물 깊고 맑을 현 |
| 炫 | 밝을 현 |
| 玄 | 검을 현 |
| 玹 | 옥돌 현 |
| 現 | 나타날 현 |
| 琄 | 옥 모양 현 |
| 痃 | 현벽 현 |
| 眩 | 어지러울 현 |
| 睍 | 불거진 눈 현 |
| 絃 | 줄 현 |
| 絢 | 무늬 현 |
| 縣 | 매달 현, 고을 현 |
| 繯 | 맬 현 |
| 翾 | 날 현 |
| 舷 | 뱃전 현 |
| 蜆 | 도롱이벌레 현 |
| 衒 | 자랑할 현 |
| 見 | 뵈올 현 |
| 誢 | 말다툼할 현 |
| 譞 | 영리할 현 |
| 讂 | 구할 현 |
| 賢 | 어질 현 |
| 鉉 | 솥귀 현 |
| 鋗 | 노구솥 현 |
| 鋧 | 작은 끌 현 |
| 顕 | 나타날 현 |
| 顯 | 나타날 현 |
| 駽 | 돗총이 현 |
| 㻽 | 옥 이름 수 |
| 䳠 | 새매 수 |
| 修 | 닦을 수 |
| 受 | 받을 수 |
| 叟 | 늙은이 수 |
| 售 | 팔 수 |
| 嗽 | 기침할 수 |
| 囚 | 가둘 수 |
| 垂 | 드리울 수 |
| 壽 | 목숨 수 |
| 嫂 | 형수 수 |
| 守 | 지킬 수 |
| 宿 | 별자리 수 |
| 寿 | 목숨 수 |
| 岫 | 산굴 수 |
| 峀 | 산굴 수 |
| 帥 | 장수 수 |
| 廋 | 숨길 수 |
| 愁 | 근심 수 |
| 戍 | 수자리 수 |
| 手 | 손 수 |
| 授 | 줄 수 |
| 搜 | 찾을 수 |
| 收 | 거둘 수 |
| 數 | 셈 수 |
| 晬 | 돌 수 |
| 樹 | 나무 수 |
| 殊 | 다를 수 |
| 殳 | 몽둥이 수 |
| 水 | 물 수 |
| 汓 | 헤엄칠 수 |
| 泅 | 헤엄칠 수 |
| 洙 | 물가 수 |
| 溲 | 반죽할 수 |
| 漱 | 양치질할 수 |
| 濉 | 물 이름 수 |
| 燧 | 부싯돌 수 |
| 狩 | 사냥할 수 |
| 獸 | 짐승 수 |
| 琇 | 옥돌 수 |
| 璲 | 패옥 수 |
| 瓍 | 구슬 수 |
| 瘦 | 여윌 수 |
| 睟 | 바로 볼 수 |
| 睡 | 졸음 수 |
| 睢 | 물 이름 수 |
| 瞍 | 맹인 수 |
| 祟 | 빌미 수 |
| 秀 | 빼어날 수 |
| 穂 | 이삭 수 |
| 穗 | 이삭 수 |
| 竪 | 세울 수 |
| 籔 | 조리 수 |
| 粹 | 순수할 수 |
| 綉 | 수놓을 수 |
| 綏 | 편안할 수 |
| 綬 | 끈 수 |
| 繡 | 수놓을 수 |
| 羞 | 부끄러울 수 |
| 脩 | 포 수, 닦을 수 |
| 脺 | 윤택할 수 |
| 膄 | 파리할 수 |
| 膸 | 골수 수 |
| 茱 | 수유 수 |
| 蒐 | 모을 수 |
| 蓚 | 수산 수 |
| 藪 | 늪 수 |
| 袖 | 소매 수 |
| 誰 | 누구 수 |
| 讎 | 원수 수 |
| 讐 | 원수 수 |
| 豎 | 세울 수 |
| 賥 | 재물 수 |
| 輸 | 보낼 수 |
| 遂 | 드디어 수, 따를 수 |
| 邃 | 깊을 수 |
| 酬 | 갚을 수 |
| 銖 | 저울눈 수 |
| 銹 | 녹슬 수 |
| 陲 | 변방 수 |
| 隋 | 수나라 수 |
| 隧 | 길 수 |
| 隨 | 따를 수 |
| 雖 | 비록 수, 벌레 이름 수 |
| 需 | 쓰일 수, 쓸 수 |
| 須 | 모름지기 수, 수염 수 |
| 颼 | 바람 소리 수 |
| 饈 | 드릴 수 |
| 首 | 머리 수 |
| 髓 | 뼛골 수 |
| 鬚 | 수염 수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