준수의 이름 통계
성별을 합한 결과 6,936명으로 224위입니다. 남자는 6,927명으로 101위, 여자는 9명으로 4445위입니다.
남자가 99.9%, 여자가 0.1%로, 이는 남성적인 이름임을 나타냅니다.
전체
6,936명
224위
남자 👨
6,927명
101위
여자 👩
9명
4445위
성별 비율
연도별 출생아
| 연도 | 전체 | 남자 | 여자 |
|---|
| 2008년 | 461명 | 460명 | 1명 |
|---|
| 2009년 | 553명 | 551명 | 2명 |
|---|
| 2010년 | 633명 | 633명 | 0명 |
|---|
| 2011년 | 627명 | 624명 | 3명 |
|---|
| 2012년 | 593명 | 593명 | 0명 |
|---|
| 2013년 | 683명 | 681명 | 2명 |
|---|
| 2014년 | 614명 | 614명 | 0명 |
|---|
| 2015년 | 559명 | 559명 | 0명 |
|---|
| 2016년 | 456명 | 455명 | 1명 |
|---|
| 2017년 | 405명 | 405명 | 0명 |
|---|
| 2018년 | 301명 | 301명 | 0명 |
|---|
| 2019년 | 243명 | 243명 | 0명 |
|---|
| 2020년 | 163명 | 163명 | 0명 |
|---|
| 2021년 | 182명 | 182명 | 0명 |
|---|
| 2022년 | 122명 | 122명 | 0명 |
|---|
| 2023년 | 126명 | 126명 | 0명 |
|---|
| 2024년 | 115명 | 115명 | 0명 |
|---|
| 2025년 | 100명 | 100명 | 0명 |
|---|
연도별 순위 변화
| 연도 | 전체 | 남자 | 여자 |
|---|
| 2008년 | 230위 | 99위 | 3436위 |
|---|
| 2009년 | 184위 | 74위 | 2616위 |
|---|
| 2010년 | 167위 | 67위 | |
|---|
| 2011년 | 174위 | 69위 | 2208위 |
|---|
| 2012년 | 185위 | 74위 | |
|---|
| 2013년 | 139위 | 57위 | 2442위 |
|---|
| 2014년 | 158위 | 66위 | |
|---|
| 2015년 | 190위 | 81위 | |
|---|
| 2016년 | 205위 | 87위 | 2837위 |
|---|
| 2017년 | 205위 | 88위 | |
|---|
| 2018년 | 263위 | 117위 | |
|---|
| 2019년 | 296위 | 137위 | |
|---|
| 2020년 | 376위 | 183위 | |
|---|
| 2021년 | 318위 | 151위 | |
|---|
| 2022년 | 414위 | 211위 | |
|---|
| 2023년 | 382위 | 193위 | |
|---|
| 2024년 | 414위 | 203위 | |
|---|
| 2025년 | 407위 | 201위 | |
|---|
로마자 표기
JunsooJoonsooJoonsuJunesooJunesu
인명용 한자
| 䜭 | 준설할 준 |
| 俊 | 준걸 준 |
| 偆 | 가멸 준 |
| 僎 | 돕는 사람 준 |
| 僔 | 모일 준 |
| 儁 | 준걸 준 |
| 准 | 준할 준 |
| 凖 | 준할 준 |
| 埈 | 높을 준 |
| 埻 | 과녁 준 |
| 墫 | 술그릇 준 |
| 寯 | 모일 준 |
| 峻 | 높을 준, 준엄할 준 |
| 惷 | 어수선할 준 |
| 懏 | 똑똑할 준 |
| 撙 | 누를 준 |
| 晙 | 밝을 준 |
| 樽 | 술통 준 |
| 浚 | 깊게 할 준 |
| 準 | 준할 준 |
| 濬 | 깊을 준 |
| 焌 | 구울 준 |
| 畯 | 농부 준 |
| 皴 | 틀 준 |
| 睃 | 볼 준 |
| 竣 | 마칠 준 |
| 竴 | 기쁠 준 |
| 純 | 가선 준 |
| 綧 | 어지러울 준 |
| 罇 | 술두루미 준 |
| 葰 | 클 준 |
| 蠢 | 꾸물거릴 준 |
| 踆 | 마칠 준 |
| 蹲 | 쭈그릴 준 |
| 迿 | 앞설 준 |
| 逡 | 뒷걸음질칠 준 |
| 遵 | 좇을 준 |
| 鐏 | 창 물미 준 |
| 陖 | 가파를 준 |
| 隼 | 송골매 준 |
| 雋 | 영특할 준 |
| 餕 | 대궁 준 |
| 駿 | 준마 준 |
| 鱒 | 송어 준 |
| 鵔 | 금계 준 |
| 𢓭 | 물러날 준 |
| 𨶊 | 뛰어날 준 |
| 㻽 | 옥 이름 수 |
| 䳠 | 새매 수 |
| 修 | 닦을 수 |
| 受 | 받을 수 |
| 叟 | 늙은이 수 |
| 售 | 팔 수 |
| 嗽 | 기침할 수 |
| 囚 | 가둘 수 |
| 垂 | 드리울 수 |
| 壽 | 목숨 수 |
| 嫂 | 형수 수 |
| 守 | 지킬 수 |
| 宿 | 별자리 수 |
| 寿 | 목숨 수 |
| 岫 | 산굴 수 |
| 峀 | 산굴 수 |
| 帥 | 장수 수 |
| 廋 | 숨길 수 |
| 愁 | 근심 수 |
| 戍 | 수자리 수 |
| 手 | 손 수 |
| 授 | 줄 수 |
| 搜 | 찾을 수 |
| 收 | 거둘 수 |
| 數 | 셈 수 |
| 晬 | 돌 수 |
| 樹 | 나무 수 |
| 殊 | 다를 수 |
| 殳 | 몽둥이 수 |
| 水 | 물 수 |
| 汓 | 헤엄칠 수 |
| 泅 | 헤엄칠 수 |
| 洙 | 물가 수 |
| 溲 | 반죽할 수 |
| 漱 | 양치질할 수 |
| 濉 | 물 이름 수 |
| 燧 | 부싯돌 수 |
| 狩 | 사냥할 수 |
| 獸 | 짐승 수 |
| 琇 | 옥돌 수 |
| 璲 | 패옥 수 |
| 瓍 | 구슬 수 |
| 瘦 | 여윌 수 |
| 睟 | 바로 볼 수 |
| 睡 | 졸음 수 |
| 睢 | 물 이름 수 |
| 瞍 | 맹인 수 |
| 祟 | 빌미 수 |
| 秀 | 빼어날 수 |
| 穂 | 이삭 수 |
| 穗 | 이삭 수 |
| 竪 | 세울 수 |
| 籔 | 조리 수 |
| 粹 | 순수할 수 |
| 綉 | 수놓을 수 |
| 綏 | 편안할 수 |
| 綬 | 끈 수 |
| 繡 | 수놓을 수 |
| 羞 | 부끄러울 수 |
| 脩 | 포 수, 닦을 수 |
| 脺 | 윤택할 수 |
| 膄 | 파리할 수 |
| 膸 | 골수 수 |
| 茱 | 수유 수 |
| 蒐 | 모을 수 |
| 蓚 | 수산 수 |
| 藪 | 늪 수 |
| 袖 | 소매 수 |
| 誰 | 누구 수 |
| 讎 | 원수 수 |
| 讐 | 원수 수 |
| 豎 | 세울 수 |
| 賥 | 재물 수 |
| 輸 | 보낼 수 |
| 遂 | 드디어 수, 따를 수 |
| 邃 | 깊을 수 |
| 酬 | 갚을 수 |
| 銖 | 저울눈 수 |
| 銹 | 녹슬 수 |
| 陲 | 변방 수 |
| 隋 | 수나라 수 |
| 隧 | 길 수 |
| 隨 | 따를 수 |
| 雖 | 비록 수, 벌레 이름 수 |
| 需 | 쓰일 수, 쓸 수 |
| 須 | 모름지기 수, 수염 수 |
| 颼 | 바람 소리 수 |
| 饈 | 드릴 수 |
| 首 | 머리 수 |
| 髓 | 뼛골 수 |
| 鬚 | 수염 수 |